자료 보관함 48

[SpringBoot] SecurityFilterChain에서 .authorizeRequests() 설정

작은 프로젝트를 개발하다가 인증 부분을 작성하는 중SecurityFilterChain에서 .authorizeRequests() 설정에 대하여 메모하면 좋을 거 같아서 작성함. permitAll() : 인증 없이 모두 접근 허용authenticated() : 로그인(인증)한 사용자만 접근 허용hasRole("ROLE_USER") : 특정 권한(역할)이 있는 사용자만 접근 허용1. anyRequest()에 .authenticated() 설정SecurityFilterChain 작성할 때,.authorizeRequests() 에서 .anyRequest()를 .authenticated()로 설정하면Spring Security에 의해 로그인 창이 뜬다.@Bean public SecurityFilterChain f..

[Java] Java 배열에서 stream() 이해하기: filter, map, forEach 정리

# 예시Arrays.stream(names) .filter(name -> name.startsWith("A")) .map(String::toUpperCase) .forEach(System.out::println); # 설명.stream(names): names 배열 또는 컬렉션의 원소를 하나씩 꺼내 스트림으로 생성한다.스트림으로 생성한다는 의미: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데이터에 순차적으로 연산을 적용하는 처리 방식스트림 방식은 필터 -> 변환 -> 출력 단계로 흐르는 것처럼 보인다.즉, 처리 흐름을 선언적으로 표현한다.하나씩 원소를 흘려보낼 수 있는 처리 파이프라인을 만들어준다는 뜻..filter(name -> name.startsWith("A")): name 매개변수에 names에서 하나씩 꺼낸 원소..

[Git/명령어] commit 메세지 변경하기. (VS Code)

# 상황VS Code에서 git bash 사용git push 하기 전 상태commit 메세지가 잘못 되어서 수정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 메세지 수정하기1. git commit --amend 입력 후 Enter.아래 내가 작업 중이었던 commit 중 하나 수정하는 거 첨부함.git commit --amned 2. i 누르기i 누르면 아래 이미지 처럼 바뀜. 3. 메세지 부분 내용 수정 후 ESC 누르기.예시라서 메세지 수정!! 이란 내용을 추가했다.메세지 내용 수정 후 ESC 누르면 맨 아래에 -- INSERT -- 가 사라진 걸 볼 수 있다. 4. :wq 입력 후 Enter 누르기.아래 이미지 보면 :wq 라고 적은 걸 알 수 있다.:wq에서 wq는 write quit 로, 저장 후 종료하는..

[IDE/VS Code] VS Code에 Java Pack 설치해서 사용하기.

사전 준비VS Code(Visual Studio Code) 프로그램 설치,Java JDK 17 또는 Java JDK 11 설치. (대부분 17, 11 사용한다고 해서 이렇게 준비하면 될듯?) 1. Extensions(확장) 탭 > 'Java' 검색 2. 'Extension Pack for Java' 설치- 'Java extension pack'도 있는데 이건 walkme라는 유저가 만든 확장팩 같다.- 나는 안전하게 Microsoft에서 올린 'Extension Pack for Java'를 설치했다.- 두개 내용을 보면 확장팩에 담긴 종류가 다르긴 하다. 알아서 취향껏 설치해도 될 거 같은데, 나는 혹시 모르니 안전하게 Microsoft에서 올린걸로... ㅎㅎ 3. 새 폴더 생성- 본인의 프로젝트 명으로..

[데이터베이스 개론] 5. 관계 데이터 모델과 제약

이미 정리된 내용을 직접 작성하여 옮기면서 공부하기 위해 글 작성함.5. 관계 데이터 모델과 제약5.1 관계 데이터 모델의 기본 용어와 구성관계 데이터 모델(Relational Data Model)데이터를 테이블(릴레이션, Relation) 형식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데이터를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2차원 구조로 관리.기본용어릴레이션(Relation): 데이터가 저장된 테이블.튜플(Tuple): 릴레이션의 한 행, 하나의 레코드.속성(Attribute): 릴레이션의 한 열, 데이터의 속성(필드).도메인(Domain):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차수(Degree): 릴레이션에 포함된 속성의 개수.카디널리티(Cardinality):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의 개수.스키마(Sche..

[데이터베이스 개론] 4. 데이터 모델링과 모델

이미 정리된 내용을 직접 작성하여 옮기면서 공부하기 위해 글 작성함.4. 데이터 모델링과 모델4.1 데이터 모델링의 개념과 필요성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의 개념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기 위한 과정으로,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데이터와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물리적으로 구조화한다.필요성데이터 구조 명확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화.요구사항 분석: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데이터 요구 사항을 분석.일관성 유지: 데이터베이스 설계 전후의 일관성을 확보.변화에 유연성 제공: 데이터 변경이나 확장에 유연하게 대응.효율적 데이터 관리: 데이터 중복과 무결성 문제를 최소화.단계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현실 ..

[데이터베이스 개론] 3.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사용자 - 보충

이미 정리된 내용을 직접 작성하여 옮기면서 공부하기 위해 글 작성함.데이터베이스 스키마, 테이블 스키마, 데이터베이스 사전1. 테이블의 스키마와 데이터베이스(디비)의 스키마1-1.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Database Schema)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예시데이터베이스 shop에 다음과 같은 구조가 있다고 가정:테이블: products, customers, orders관계: orders.customer_id는 customers.id를 참조이 전체 구조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입니다.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전체의 구조와 조직을 정의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모든 테이블, 뷰, 인덱스, 프로시저, 관계 등을 포함한 큰 그림이다.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주요 요소테이블(Table): 데이터가 저장되는 ..

[데이터베이스 개론] 3.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사용자

이미 정리된 내용을 직접 작성하여 옮기면서 공부하기 위해 글 작성함.3.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사용자3.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조와 스키마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다.1단계: 내부(물리적) 수준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방식과 관련.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소의 데이터 구조 및 인덱스 관리.2단계: 개념(논리적) 수준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조를 정의.관계, 속성, 데이터 제약 조건 등을 포함.3단계: 외부(사용자) 수준개별 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보는 방식.특정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데이터의 뷰(View)를 정의.구조적 표현:사용자 수준 (뷰) ----------------- 개념 수준 (논리적 설계) ----------..

[데이터베이스 개론]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이미 정리된 내용을 직접 작성하여 옮기면서 공부하기 위해 글 작성함.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2.1 DBMS의 등장 배경 및 정의DBMS의 등장 배경초기 컴퓨팅 환경에서는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File System)으로 관리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데이터 중복: 여러 파일에 동일한 데이터가 중복 저장되어 공간 낭비 발생.데이터 불일치: 서로 다른 파일에서 동일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생.데이터 무결성 부족: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을 보장하기 어려움.보안 문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체계 부족.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의존성: 데이터 형식이 바뀌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도 수정해야하는 문제.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이를 관리하는 *..

[데이터베이스 개론] 1.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이미 정리된 내용을 직접 작성하여 옮기면서 공부하기 위해 글 작성함.1.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1.1 데이터와 정보의 이해데이터(Data)데이터는 사실이나 관찰에서 얻어진 원초적인 값 또는 기록이다.예: 숫자, 문자, 사진, 음성 등.정보(Information)정보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를 제공한다.예: "3, 5, 7"이라는 데이터는 각각의 의미를 알기 어렵지만, "학생 3명이 수업에 참석했다"는 정보는 데이터를 해석한 것이다.데이터와 정보의 관계데이터는 정보로 전환되기 위해 가공 또는 처리 과정을 거쳐야한다.데이터 -> 처리 -> 정보예제데이터: 온도 센서가 기록한 값 (25℃, 27 ℃ , 28 ℃ )정보: "오늘 하루 동안 온도는 25 ℃에서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