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D 창으로 설치한 Ubuntu 실행시키기 * Ubuntu 프로그램을 따로 실행 시키기 귀찮아서 CMD 프롬프트에서 Ubuntu 실행시키는 방법이 없는지 찾아보니 있었다. 아주아주 사랑스러운 Chat gpt 같으니라고.. ㅎㅎ wsl 설치된 거 보기 wsl -l -v내가 설치한 Ubuntu 실행. 여기서 나는 Ubuntu-24.04 을 설치했었기 때문에 이를 실행wsl -d Ubuntu-24.04 ▼ CMD 프롬프트에서 실행시키는 모습 개발 공부/명령어 2024.10.27
HTTP 응답 상태 코드 - 미완성 생각개발 공부를 하면서 코드 작성해서 서버 실행시키면 종종 발생하는 에러들이 많았다.303, 404, 500 같은 에러를 접했는데 404는 흔히 봤었던 not found 에러라서 잘 아는데 나머지는 생소하다보니 작업하다가 가 발생한 오류 코드를 찾아보고 '아~ 이런 에러구나.'라고 이해하고 넘어가다보니 나중에 같은 에러가 나도 다시 찾아보게 되는 일이 생겼다. 그래서 글로 정리해두면 나중에 찾기 편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에 글을 작성한다. HTTP 상태 코드란HTTP 상태 코드는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주는 코드이다.상태보드는 3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1xx :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2xx : 성공적인 응답3xx : 리다이렉트 메세지4xx .. 개발 공부/기타 2024.10.25
JAR 파일 실행 관련 명령어 * AWS에서 JAR 파일을 터미널 세션이 종료되어서 돌아가게 하고 싶어서 nohup이라는 키워드를 알게 되었다.그런데 프로세스 확인하는 방법을 외워야하는데 자주 사용하지 않다보니 까먹어서 기록을 하게 되었다. 실행 중인 Java 프로세스 확인ps aux | grep java 프로세스 종료kill 프로세스 강제 종료kill -9 일반적인 JAR 파일 실행java -jar .jar 콘솔창이 종료되어서 JAR 파일 실행되는 방법nohub java -jar .jar & nohub 실행시 출력과 오류를 특정 파일로 저장하고 싶은 경우nohup java -jar .jar > output.log 2>&1 & > : 표준 출력을 리다이렉트하는 데 사용.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출력 결과를 다른 곳(파일)에 저장.. 개발 공부/명령어 2024.10.25
@Autowired # 수익을 위해 작성한 글이 아닙니다. 생각@Autowired가 의존성 주입을 한다고 해서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 싶어서 찾아보았다. @Autowired'Spring 컨테이너에 등록된 빈'을 찾아서 '해당 필드에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주입한다는 말이 생소할 수도 있다.JAVA에서 인스턴스를 생성과 비슷한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엄연히 다르다.@Autowired는 Spring 컨테이너에서 등록된 Bean을 찾아서 해당 필드, 생성자, 메서드에 주입하는 역할이다. 다시한번 더 설명하자면인스턴스 생성은 Spring IoC 컨테이너에서 하고, @Autowired가 이미 생성된 Bean을 가져와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 뿐이다. 개발 공부/SpringBoot 2024.10.23
Spring Bean (스프링 빈) # 수익을 위해 작성한 글이 아닙니다.# 수업을 받고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생각@Autowired를 이해하려고 하다보니 의존성 주입이라는 단어가 보였다. 이미 등록된 빈을 찾아서 해당 필드에 주입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해서 이때 빈이란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Spring Bean의 정의Spirng Framework에 관리되는 객체이며, Java 클래스로 정의된다.IoC(제어의 역전) 컨테이너에 의해 생성, 초기화, 소멸되는 모든 객체를 포함한다. Spring Bean 특징IoC(제어의 역전)Spring Bean은 Spring IoC 컨테이너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는 객체로, 개발자가 직접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컨테이너가 이를 자동으로 처리한다.IoC(Inversion of Contr.. 개발 공부/SpringBoot 2024.10.23
@Controller, @RestController 차이 # 수익을 위해 작성한 글이 아닙니다.# 수업을 받고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생각Spring Boot 수업을 들으며 소스코드에 @RestController가 있었다.이름만 봐도 Controller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겠다고 생각을 했다.그리고나서 주말에 게시판 목록, 상세, 로그인 구현하는 것을 복습을 하다가 뷰템플릿을 구현하는데 에러가 나서 왜 에러가 나는건가 싶어서 찾아보다가 내가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적용시켜놓고 html 문서로 연결하려고 했었던 것이었다. 그래서 @Controller와 @RestController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에 찾아보았다. @ControllerMVC 패턴에서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을 받아 관련 비즈니스 로직.. 개발 공부/SpringBoot 2024.10.23
SpringBoot(스프링부트) 수업 2일차 # 수익을 위해 작성한 글이 아닙니다.# 수업을 받고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수업 책: 점프 투 스프링부트# https://wikidocs.net/160023 # 2024-09-24 IP 관련 내용 https://inpa.tistory.com/entry/WEB-IP-%ED%81%B4%EB%9E%98%EC%8A%A4-%EC%84%9C%EB%B8%8C%EB%84%B7-%EB%A7%88%EC%8A%A4%ED%81%AC-%EC%84%9C%EB%B8%8C%EB%84%B7%ED%8C%85-%EC%B4%9D%EC%A0%95%EB%A6%ACweb, devtools, thymeleaf 라이브러리 설치 1. web 라이브러리 설치 1) build.gradle 파일 클릭 2) 다음과 같은 소스 코드를 입력.. 개발 공부/SpringBoot 2024.09.24
SpringBoot(스프링부트) 수업 1일차 # 수익을 위해 작성한 글이 아닙니다.# 수업을 받고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수업 책: 점프 투 스프링부트# https://wikidocs.net/160023 # 2024-09-23스프링부트 개발 준비하기자바와 STS(Spring Tool Suite) 에디터를 설치하고,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기.1. 스프링 부트란?웹 프로그램(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바의 웹 프레임워크이다.자바로 만든 웹 프레임워크 중 하나이다.특징튼튼한 웹 프레임워크이다. (기본적으로 보안 공격을 잘 막아준다.)SQL 인젝션, XSS(cross-site scripting),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클릭재킹(clickjacking)같은 보안.. 개발 공부/SpringBoot 2024.09.23
[2024-09-13] 자바 보충수업 2일차 * 수업 내용 외에 추가로 관련 자료를 찾아서 덧붙임 반복 제어문1. while 문 - 반복 제어문조건이 참인 경우 중괄호 { } 안의 명령문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문이다.수행해야할 명령문이 한 개일 경우에는 중괄호는 생략 가능하다.조건이 참인 경우 명령문을 반복 수행한다.// 기본 형식while (조건) { 명령문1; 명령문2; ... 명령문n;}2. do~while문 - 반복 제어문명령문을 먼저 실행하고 조건을 비교한다.최소 한번은 반드시 수행한다.while문 뒤에 세미콜론 ; 을 써야한다.조건에 따라 수행해야 할 명령문이 한 개일 경우에는 중괄호는 생략 가능하다.// 기본 형식do { 명령문1; 명령문2; .... 명령문n;} while (조건);3. for문 - 반복 제어문조건이 참인 경우 중.. 개발 공부/보충수업 2024.09.14
[2024-09-12] 자바 보충수업 1일차 * 수업 내용 외에 추가로 관련 자료를 찾아서 덧붙임컴퓨터 구조용어 설명1. CPU (Central Processing Unit)CPU는 컴퓨터의 두뇌이다.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한다.2. RAM (Random Access Memory)램, 메모리, 기억장치 라고도 한다.CPU의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이다.프로그램 실행 시 프로그램들이 메모리에 읽혀져 동작하게 된다.램은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지워지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는 HDD 장치에 저장한다.3. HDD (Hard Disk Drive)하드 디스크라고 하며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이다.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파일, jpg같은 .. 개발 공부/보충수업 2024.09.12